움베르토 에코를 기리며

Mobile World Congress 2016 참석 차 바르셀로나에 도착한 2월 19일. 호텔로 향하는 택시 안에서는 스페인어 – 어쩌면 까딸루냐어였을지 모를 – 라디오 방송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스페인어 초급 강좌만 두 어 번 들었던 나로서는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이었기에 ‘아, 바르셀로나에 잘 도착했구나’ 하는 신호 정도로 흘려 듣던 찰나, 문득 ‘움베르토 에코’ 라는 선명한 이름이 귀를 울렸다. 잠시 후 검색을 통해 확인한 것은 안타깝게도 그의 부고였다.

당대의 기호학자이자 세계적인 작가였던 그에 대한 이해가 깊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가 제기했던 ‘반서재(Antilibrary)’ 의 개념은 나심 니콜 탈렙이 주창한 ‘안티프래질(Antifragile)’ 과 함께 지식을 대하는 나의 태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책, 다시 말해 지식을 마치 지키고 아껴야 할 자산처럼 여기는 태도를 180도 뒤집어 그 여집합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무지의 가능성을 열어두게끔 하는 그의 시각은 단순명료하면서도 날카로웠다. 유용한 개념이라면 응당 그러하듯.

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 <사피엔스>에서 유럽이 대서양을 넘어 신대륙을 발견하고 나아가 세계를 제패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움베르토 에코가 읽었다면 박수를 쳤을 법한 해석을 내 놓았다. 15,6 세기 동양에서 만들어진 지도에는 비어있는 미지의 지역이 없었던 반면, 동시대 유럽에서 만들어진 지도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지역에 대한 공백이 분명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유럽인들이 스스로의 무지를 인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무지에 대한 자각이야말로 유럽이 위험을 감수하고 대양을 건널 수 있었던 근원적인 동기라는 유발 하라리의 지적에 나 또한 깊이 공감하고 있다. 도도한 역사가 이러할진대 한낱 개인의 삶에 있어서 무지에 대한 자각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질런지 감히 상상이 가질 않는다.

유라시아 대륙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로 출장와 있는 동안, 그 대륙의 반대편 동쪽 끝에 있는 한반도의 내 나라에서는 ‘테러방지법’ 이라는 이름의 위세도 당당한 법 앞에 야당의원들이 장시간 릴레이 토론으로 맞서는 소위 ‘필리버스터’ 가 펼쳐지고 있었다. 대통령은 이 모습을 보고 ‘이것은 정말 어떤 나라에서도 있을 수 없는 기가 막힌 현상들’ 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고 한다. 이에 나는 묻고 싶다. 대통령의 단호한 지적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가? 대통령의 서재는 빈 칸이 없을 정도로 그렇게 빽빽하고 대단한 것인가? 설령 오랜 경륜으로 그 빈틈이 극히 좁다할지라도 무거운 책임을 짊어진 자라면 의심과 회의를 반복해야 하는 것이 숙명 아니던가? 나는 대통령의 분노 앞에 참담했다.

일주일 동안 많은 사람을 만나고, 다양한 문물을 접하고, 제주에서 천 년을 버텨온 내 조상들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이국의 땅을 밟으면서 내 서재가 채워지는 것을 경계하게 된 것은 참으로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아니 어쩌면 이것을 다행히 여기는 것조차 경계해야 할런지도 모르겠다. 움베르토 에코는 반서재의 개념을 설파했지만 정작 그 개념만큼은 부인할 수 없는 소중한 지적 자산이 아닐 수 없다. 대한민국의 국회를 보라. 반서재 개념의 현신들이 웅변을 토하고 있지 않은가? 움베르토 에코의 명복을 빈다. 그대의 반서재에 영면하시길.

 

About Stan Kim

COO, StartUp Ex-Googler Golf Geek Gradatim Ferociter View all posts by Stan Kim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