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래리 페이지

구글의 리더쉽

알파고와 이세돌9단의 역사적인 대국이 모두 끝난 후, 세간의 관심은 ‘Google’ 이라는 회사에 집중되었다. 내일이면 필자가 구글에 합류한지 정확히 3년이 되는데, 그동안 구글에 대한 관심이 이렇게 높은 적이 또 있었나 싶을 정도로 어딜 가나 이 회사에 대한 설왕설래를 접할 수 있었다. 특히 많은 분들께서 구글의 앞선 기술과 그로 인한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을 경계하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럴수록 이 놀라운 회사에 몸담고 있는 사람으로써 자세를 낮추고 또 낮추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상기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대국은 필자에게 더없이 소중한 경험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나 역시 구글러이기 이전에 한 사람의 자연인 혹은 사피엔스로서 기술의 진보가 가져 올 미래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었고, 지난 번 포스팅 – 알파고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 을 통해 혁신적인 기업과 기업가들이 선의를 잃지 않고 전진하는 것이 더없이 중요하다는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는 현 시점에서 가장 큰 기술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인 구글의 구성원으로서 구글의 리더쉽에 여전한 기대와 신뢰를 견지하는 개인적인 이유들을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단, 내부에서 겪은 에피소드를 자세히 공유할 수 없음은 독자 여러분들께 널리 양해를 구하는 바이다.)

먼저 이번 대국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해 보자. 많은 언론들이 이번 대국의 프레임을 ‘인간 vs 기계’ 로 정의하고, 알파고의 승리를 인간에 대한 위협, 특히 대규모 실업을 초래할 수 있는 실체적 위협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한 우려가 전혀 근거없거나 혹은 쓸데없는 걱정이라고 치부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적어도 구글의 엔지니어들, 특히 리더들의 시각과는 적지않은 간극이 있음을 짚어 볼 필요가 있다.  구글의 CEO 인 Sundar Pitchai 와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의 CEO 인 Demis Hassabis 는 CNN 에 공동기고한 글(원문 보기)을 통해 이번 대국을 ‘인간 vs 기계’ 의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 그렇다면, 알파고의 승리가 곧 인간의 패배를 의미하는 것인가? 인간의 독창적 전략을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게임인 바둑에서조차 컴퓨터가 인간을 이긴다면 그것이 결국 인간의 약함을 드러내는 것인가?

결코 그렇지 않다. 현재 세계가 마주한 도전과제는 ‘인간’ 대 ‘기계’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과 인간이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도구’ 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어렵고 복잡한 문제들’이다. 기후변화, 의료 보건, 교육 등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슈들이 있고, 수천 명의 전문가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들은 이러한 전문가들에게 강력한 문제 해결 도구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긴급한 글로벌 이슈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우리는 복잡한 문제를 다룰 수 있고, 예측 불가능한 것을 예측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일들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도구들이 점점 스마트해지고 다재다능해짐에 따라, 우리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글로벌 도전과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세상에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도 있다’는 생각을 이제 버려야 한다. 이제 더 큰 목표를 세워야 한다.”

내가 구글의 두 창업자를 비롯한 리더들에 대해 갖고 있는 첫번째 확신은 이들이 ‘더 나은 세상’ 에 대한 열망과 믿음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구글의 인사담당 부사장인 Laszlo Bock 이 쓴 <Google work rules(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 를 보면 Larry Page 와 Sergey Brin 의 성장 배경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Larry 의 할아버지는 자동차 공장의 노동자였다. Larry 는 할아버지가 연좌 파업을 하는 동안 회사의 폭력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려고 직접 만들어 갖고 다니셨던 커다란 쇠파이프를 지금도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노동자가 회사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려고 무기를 만들어야 했던 시절에 비하면 오늘날은 얼마나 많이 좋아졌으며, 리더로서 자신이 할 일은 모든 구글러들이 각자 가치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를 좀 더 낫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느끼도록 하는 것이라는 믿음을 피력한 바 있다. 한편 Sergey 의 부모는 두 분 모두 수학자였는데, 1979년에 자식의 미래와 자유를 위해 반(反) 유대주의 공산정권인 소련을 탈출하여 미국으로 이주한 바 있고, Sergey 는 자신의 반골 기질이 이러한 성장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내가 다니는 회사의 창업자들을 마냥 찬양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이들이 자신의 성장배경과 과거를 잊지 않고 끊임없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부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이번 대국 기간 중 내한한 Eric Schmidt 회장이나 딥마인드의 Demis Hassabis 또한 머신러닝과 AI 를 통해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 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이 이세돌9단에게 거둔 네 번의 승리 못지 않게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던 한 번의 패배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은 이유가 거기에 있다.

또 한 가지 구글의 리더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적인 미덕은 ‘겸양(Humility)’ 이다. 이번 대국이 끝나고 이세돌 9단과 양손으로 허리 숙여 인사한 Sergey 의 사진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주셨는데, 구글에서 생각하는 겸양의 개념은 조금 더 깊이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저명한 칼럼니스트인 Thomas Friedman 이 Laszlo Bock 부사장과의 인터뷰에 대해 New York Times 에 기고한 <How to get a job at Google?(원문 보기)>에 따르면 Laszlo 부사장은 겸양에 대해 이렇게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책임감과 주인의식의 문제이다.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인의식을 갖고 앞으로 나서야 하지만, 동료의 더 나은 아이디어를 포용하고 한 걸음 물러서는 것은 겸양의 미덕이다. 당신의 최종 목표는 결국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함께 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내가 내 몫의 기여를 했다면 동료들의 아이디어를 위해 물러날 줄도 알아야 한다.” 

내가 겪은 구글의 리더들의 화법과 행동에서도 이런 겸양의 미덕을 확인할 수 있다. 구글의 리더들은 언제나 “What can I do for you?” 라는 말로 대화를 시작한다. 근자에 구글 입사 후 가장 고위직 – 사실 이 표현도 구글에서는 좀체 쓰지 않는 표현이지만 – 에 계신 분께 미팅 장소로 향하는 차 안에서 브리핑을 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 때도 그 분께서는 “내가 오늘 미팅 중에 너에게 어떤 도움을 주면 될까?” 라고 대화를 시작하셨고 그 미팅을 위해 내가 준비한 것의 200% 를 발휘해 주셨다. 직급을 막론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이 나서야 할 때와 물러서야 할 때를 정확히 아는 것이야말로 리더로서 실무진을 존중하는 태도라는 것을 여실히 느낄 수 있는 경험이었다. (Obama 대통령이 군사작전 중에 현장지휘관 옆에 놓인 접이식 의자에 가만히 앉아 있는 사진을 보았을 때와 거의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동료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자세에 더하여 Lazlo 부사장은 ‘지적 겸양(Intellectual Humility)’이라는 개념을 추가하고 있다. 지식 앞에 겸손하지 않은 사람은 결코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받아들일 수 없으며, 구글이 인재를 채용함에 있어 학벌에 집착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 겸양에 있어서 또한 구글의 리더들은 훌륭한 본보기가 되고 있다. 구글에서는 내부 교육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는데 나는 단 한 번도 이러한 교육에 강제로 참석할 것을 종용받아 본 적이 없다. 흥미로운 것은 언제나 이런 교육에 가장 열정적으로 참석하는 것은 리더들이라는 점이다. 구글에서 리더는 몰라도 되는 사소한 지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스스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식이라면 자발적으로 그것을 체득해야 하고 그러한 지식을 가진 사람 앞에서는 아무리 높은 직급의 구글러라 하더라도 겸손한 자세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할진대, 구글의 창업자이자 세계 14위의 부호인 Sergey Brin 이 이세돌9단에게 허리를 굽혀 두 손으로 악수를 한들 놀랄 일이 무엇이겠는가? Sergey 에게 이세돌9단은 지적인 겸양을 불러일으키는 위대한 지성일테니 말이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열정, 그리고 동료와 지식 앞에서의 겸손함. 내가 구글에서 3년동안 일하면서 생생히 느껴 온 구글 리더십의 한 단면이다. 물론 구글도 완벽한 회사는 아니며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 또한 현실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창업자에서부터 대한민국 서울의 세일즈맨인 나에게 이르기까지 이러한 정신이 공유되고 있다는 것은 구글이라는 회사의 큰 영향력을 감안할 때 무척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구글을 바라보는 모든 분들께서 나와 같은 믿음을 가지실 수는 없겠지만 이 글을 통해 구글의 리더십에 대한 생각과 경험을 편린이나마 공유할 수 있다면 이 글을 쓰는 수고로움이 헛되지는 않으리라 믿는다.